청도군 '빈집정비·인구활력 및 '지방소멸' 대응 박차
작성일 25-09-10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조회 21회 댓글 0건본문
빈집정비계획 중간보고·지방소멸대응기금 TF 회의 잇달아 개최
청도군 농촌 정주여건 개선과 지방소멸 대응을 위해 빈집정비와 신규 소프트웨어(SW) 사업 발굴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군은 9일 군청 제1회의실에서 ‘빈집정비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같은 날 부군수를 단장으로 한 저출생 극복 TF 회의도 개최했다.
빈집정비계획은 인구감소로 증가한 빈집이 마을경관 저해, 안전사고 등 사회문제를 유발함에 따라 마련됐다.
2024년 실태조사 결과 청도군 내 빈집은 총 502호로, △상태 양호 1등급 151호 △보수 필요 2등급 321호 △안전조치 필요 3등급 30호로 집계됐다.
이 중 철거됐거나 사용 중인 13호를 제외한 489호를 정비대상으로 제시했으며, 오는 12월까지 계획을 최종 확정해 향후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특히 열린 지방소멸대응기금 TF 회의에서는 행정안전부가 시설(HW) 위주 투자에서 인구유입 효과가 큰 프로그램형(SW) 사업 중심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함에 따라, 청도군의 대응 전략이 집중 논의됐다.
한편 청도군은 △청년 창업·기업 육성 △관계인구 확대 프로그램 △출산·보육 맞춤 지원 △농촌 이주·정착 지원 등 다양한 신규 사업 아이디어를 검토했으며, 10월 초 사업계획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김하수 군수는 “효율적인 빈집 정비와 쾌적한 정주환경 조성으로 안전하고 살기 좋은 청도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김동기 부군수는 “앞으로는 물적 인프라 확충을 넘어, 사람을 움직이는 프로그램 사업으로 미래 활력을 만들어야 한다”며 “청도가 인구유입과 지역활력 제고의 모범사례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